2025/08 21

순례자 식탁 – 물과 와인 사이에서

프롤로그 – 길 위의 하루는 식탁에서 완성된다 까미노의 하루는 걷는 데서 시작하지만, 결국 식탁에서 완성된다. 순례자들은 해가 뜨기 전 길을 떠나, 메세타의 바람과 산길의 오르막을 지나며 땀을 쏟는다. 그리고 저녁이 되면 마을 식당, 알베르게의 공동 테이블, 혹은 작은 바의 한 구석에 앉아 하루를 마무리한다. 지친 얼굴이지만, 테이블 위의 빵과 와인, 그리고 함께 둘러앉은 동료 순례자들의 웃음 속에서 하루의 무게가 풀린다. 식탁은 단순한 끼니가 아니라 위로와 교감, 새로운 이야기의 출발점이다. 물과 와인 – 낯선 문화의 충격 한국 순례자들이 가장 먼저 놀라는 풍경은 바로 물값과 와인값의 역전이다. 한국에서는 당연히 무료로 제공되는 물이 스페인에서는 유료다. 반대로 와인은 무료로 제공되거나 아주 저렴하다..

카테고리 없음 2025.08.30

[나는 왜 까미노를 생각하는가] "나에게 스스로 주는 가장 긴 선물"

프롤로그 – 자기 자신을 위한 선물이란 현대인의 삶은 늘 남을 위해서 돌아간다. 가족, 직장, 사회, 그리고 비교 속에서 자기 자신은 늘 뒷전으로 밀려난다. 하지만 까미노는 우리에게 묻는다.“마지막으로 당신 자신을 위해 선물을 준비한 게 언제입니까?”이 길은 가장 오래 걸리는, 그러나 가장 값진 선물이다. 잊혀진 ‘나’를 다시 부르는 길 사람들은 일 속에 파묻혀 자기 자신을 돌보지 못한다. 고통이나 시련을 겪을 땐 오히려 자기 자신을 잊는다. 하지만 극복 이후에는 자기 자신을 다시 돌아보고, 무엇보다 자신에게 선물을 줄 자격이 있다는 것을 깨닫게 된다.까미노의 길 위에서는 ‘평범한 나’가 얼마나 대단한 존재인지 깨닫는다.왜 자신에게 선물을 주는가라파엘(42, 스페인)“20년간 가족을 위해 일만 했어요. ..

카테고리 없음 2025.08.29

[까미노 길 위의 풍경] 짐 운송 서비스 – 동키서비스

프롤로그 – 배낭의 무게, 마음의 무게 처음 까미노를 나설 때 우리는 다짐한다. “끝까지 내 배낭은 내가 멜 거야.” 하지만 열흘, 스무 날이 지나면 10kg 남짓의 배낭은 단순한 수치가 아니라, 어깨와 무릎, 그리고 마음을 짓누르는 무게가 된다. 그제야 깨닫는다. 배낭 속에는 옷과 물건뿐만 아니라 불안과 완벽해야 한다는 집착까지 들어 있다는 것을.어느 날, 나는 알베르게 문 앞에서 결심했다. 오늘 하루는 내려놓아 보자. 그렇게 처음 만난 것이 바로 짐 운송 서비스, 동키서비스였다. 동키서비스란 무엇인가동키서비스는 순례자가 배낭을 다음 목적지 알베르게로 미리 보내는 운송 서비스다. 예전에는 나귀가 짐을 날랐다고 해서 붙여진 이름이지만, 지금은 승합차나 밴이 그 역할을 대신한다.아침에 알베르게에서 신청해 ..

카테고리 없음 2025.08.27

[까미노 길 위의 풍경] 알베르게를 나설 때의 풍경

– 새로운 하루를 여는 문 아직 어둠이 남아 있는 새벽알베르게의 문이 열리기 전, 실내는 고요하다. 침대 위에서 부스럭거리며 배낭을 정리하는 소리, 끈을 조이는 소리, 플라스틱 봉지의 바스락거림이 새벽의 음악처럼 들린다. 누구는 여전히 졸린 눈으로, 또 누구는 이미 설레는 표정으로 준비를 마친다. 이 모든 긴장과 설렘은 한 문을 나서며 터져 나온다. 알베르게 문을 나서는 순간, 어제의 나는 사라지고 오늘의 내가 시작된다. 문을 여는 순간, 맞이하는 공기 차가운 새벽 공기가 순례자의 뺨을 스친다. 어떤 날은 촉촉한 이슬 냄새가, 어떤 날은 먼지 섞인 흙내음이, 또 어떤 날은 갓 구운 빵 냄새가 골목을 채운다. 그 순간은 ‘다시 태어남’의 은유와도 같다. 밤새 눌러 두었던 감정과 피로가 사라지고, 발..

카테고리 없음 2025.08.25

[나는 왜 까미노를 생각하는가] 미래를 그리기 위한 여백 만들기

미래는 빈 공간에서 자란다 까미노의 길을 걷다 보면, 미래에 대한 계획은 놀랍게도 더 또렷해지지 않는다. 오히려 머릿속의 복잡한 그림이 지워지고, 백지의 공간이 생겨난다. 사람들은 흔히 미래를 그리려면 목표와 계획을 세밀하게 세워야 한다고 말한다. 그러나 까미노는 다른 방식으로 가르쳐준다. 미래는 여백에서 싹트고, 그 여백은 오직 비움 속에서만 생겨난다. 걸음 속에서 떠오르는 물음표 길을 걷는 동안, 수많은 순례자들이 이렇게 말한다.“나는 이 길에서 인생 계획을 다시 쓰려 했는데, 결국 답 대신 질문만 얻었어요.”“앞으로 뭘 하고 싶은지는 아직 모르겠지만, 무엇을 더는 하고 싶지 않은지는 알게 되었어요.”메세타의 끝없는 평원 위에서, 사람은 자기 안의 목소리를 듣게 된다. 그 목소리는 종종 “어떻게 살아..

카테고리 없음 2025.08.23

[까미노 길 위의 풍경] 순례자의 배낭 – 꼭 필요한 것만 담는 삶

무거운 시작까미노를 시작할 때, 대부분의 순례자들은 배낭을 무겁게 메고 출발한다. 나 역시 그랬다. 혹시나 해서 챙겨 넣은 옷가지, 필요할지 모른다는 불안으로 넣어둔 약품, 읽지 않을지도 모르는 책까지. 출발선에서 배낭의 무게는 기대보다 훨씬 더 무거웠다. 그러나 몇 시간이 지나자 나는 깨달았다. 내 어깨를 짓누르고 있는 건 단순히 물건이 아니라 불안이었다는 것을. 길이 알려주는 배움 며칠을 걷다 보면 순례자들은 공통적으로 같은 경험을 한다. 배낭 속을 열어 불필요한 것들을 하나씩 꺼내 알베르게에 두고 간다. 그 과정은 단순한 짐 덜기가 아니다. 내 마음속 불필요한 욕심과 집착을 내려놓는 훈련이다.프랑스에서 온 한 순례자가 내게 말했다.“첫 주는 무게에 짓눌렸고, 둘째 주는 버림을 배웠어요. 그리고 ..

카테고리 없음 2025.08.23

[나는 왜 까미노를 생각하는가] 기억을 정리하고 떠나 보내는 시간

걷는 동안 떠오르는 얼굴들, 말없이 흘려보내는 의식, 그리고 남겨지는 새로운 나에 대하여 벤치에 앉아 눈을 감고 오래된 기억을 정리하는 시간. --> 기억을 정리한다는 것의 의미 까미노를 걷기 전, 내 배낭에는 옷과 세면도구, 상비약만 들어 있다고 믿었다. 하지만 길 위에서 얼마 지나지 않아 깨달았다. 진짜 무게는 배낭이 아니라 마음에서 온다는 것을. 떠나오며 굳게 다문 말, 끝내 전하지 못한 안부, 뒤늦게 이해한 표정들이 발걸음마다 되살아났다. 기억은 예상보다 끈질겼고, 동시에 내가 생각한 것보다 상냥했다. 잊으려 할수록 달아나던 것들이, 걸음의 리듬 속에서는 조용히 돌아와 이야기를 끝맺자고 손짓했다. ‘기억을 정리한다’는 말은 때로 잊어버리겠다는 의지처럼 들린다. 그러나 까미노가 알..

카테고리 없음 2025.08.22

[까미노 길 위의 풍경] “고개를 넘는 순간 보이는 넓은 벌판 – 놀라움의 연속”

고개를 넘는다는 것의 의미까미노의 길에는 수많은 고개들이 있습니다. 작은 언덕도 있고, 피레네처럼 거대한 산줄기도 있습니다. 그러나 순례자들에게 고개를 넘는 경험은 단순히 지형을 통과하는 일이 아닙니다. 그것은 자신이 지고 있던 무게를 시험하고, 그 끝에서 새로운 세계와 맞닥뜨리는 과정입니다.저 역시 수차례 고개를 넘으면서 깨달았습니다. 고개란 늘 불안과 기대가 동시에 존재하는 공간입니다. 땀으로 얼룩진 셔츠가 등을 파고들 때, 다리에 근육통이 차오를 때, 마음속에서는 “언제쯤 끝날까”라는 조바심이 올라옵니다. 하지만 발걸음을 멈출 수는 없습니다. 고개를 넘는다는 건 곧 스스로와의 약속이기 때문입니다.오르막의 시작 – 무거운 발걸음, 그리고 침묵순례자들이 고개에 다가서면 누구나 말수가 줄어듭니다. 서로 ..

카테고리 없음 2025.08.20

[나는 왜 까미노를 생각하는가] 타인의 고통에 공감하며 함께 걷는 길

길 위에서 마주친 ‘타인의 고통’까미노 길 위에서는 누구나 아프다. 그것이 발바닥의 물집이든, 무릎의 통증이든, 혹은 마음속 깊은 곳의 오래된 상처이든 간에 말이다. 이 길에서 고통은 ‘개인의 것’으로만 남지 않는다. 걷다 보면 옆사람의 절뚝거림을 보게 되고, 낯선 이의 눈가에 고이는 눈물을 목격하게 되며, 때로는 고통을 나누어 지는 동행자가 되기도 한다. 타인의 고통을 알아차리는 순간, 우리는 더 이상 혼자가 아니다. 그리고 그 공감이야말로 순례길이 만들어내는 가장 특별한 기적 중 하나다.벤치에서 발을 주무르던 마르타의 고백레온 근처의 한 시골 마을. 낡은 나무 벤치에 앉아 있던 '마르타(42, 이탈리아)'는 두 손으로 발을 꼭 감싸쥔 채 눈을 질끈 감고 있었다. 발바닥이 터져 걷기 힘들어 보였던 그녀..

카테고리 없음 2025.08.20

[까미노 길 위의 풍경] 순례길을 걷는 다양한 모습

프롤로그 – 순례길의 수많은 발걸음 스페인의 대지를 가로지르는 까미노, 이 길을 걷다 보면 누구도 똑같은 발걸음을 하고 있지 않다는 사실을 금세 알게 된다. 누군가는 묵직한 배낭을 지고 묵묵히 두 발로만 길을 밟아 나가고, 누군가는 작은 수레를 끌며 더딘 걸음을 이어간다. 또 어떤 이는 자전거로, 혹은 말 위에 앉아 과거의 기사처럼 순례를 이어가고, 때로는 버스와 걷기를 병행하며 현실적인 이유로 자신의 길을 완성하는 이들도 있다. 이 풍경은 마치 인생을 비추는 은유와도 같다. 살아가는 방식이 저마다 다르듯, 순례길 또한 “하나의 정답”이란 존재하지 않는다. 중요한 것은 그 길을 어떻게 걸었는가가 아니라, 왜 그 길 위에 섰는가 하는 질문이다. 내가 길 위에서 만난 수많은 사람들은 각자의 방식으로 걸음을..

카테고리 없음 2025.08.17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