걷기 여행 4

[까미노 길 위의 풍경] 알베르게를 나설 때의 풍경

– 새로운 하루를 여는 문 아직 어둠이 남아 있는 새벽알베르게의 문이 열리기 전, 실내는 고요하다. 침대 위에서 부스럭거리며 배낭을 정리하는 소리, 끈을 조이는 소리, 플라스틱 봉지의 바스락거림이 새벽의 음악처럼 들린다. 누구는 여전히 졸린 눈으로, 또 누구는 이미 설레는 표정으로 준비를 마친다. 이 모든 긴장과 설렘은 한 문을 나서며 터져 나온다. 알베르게 문을 나서는 순간, 어제의 나는 사라지고 오늘의 내가 시작된다. 문을 여는 순간, 맞이하는 공기 차가운 새벽 공기가 순례자의 뺨을 스친다. 어떤 날은 촉촉한 이슬 냄새가, 어떤 날은 먼지 섞인 흙내음이, 또 어떤 날은 갓 구운 빵 냄새가 골목을 채운다. 그 순간은 ‘다시 태어남’의 은유와도 같다. 밤새 눌러 두었던 감정과 피로가 사라지고, 발..

카테고리 없음 2025.08.25

[까미노 길 위의 풍경] “고개를 넘는 순간 보이는 넓은 벌판 – 놀라움의 연속”

고개를 넘는다는 것의 의미까미노의 길에는 수많은 고개들이 있습니다. 작은 언덕도 있고, 피레네처럼 거대한 산줄기도 있습니다. 그러나 순례자들에게 고개를 넘는 경험은 단순히 지형을 통과하는 일이 아닙니다. 그것은 자신이 지고 있던 무게를 시험하고, 그 끝에서 새로운 세계와 맞닥뜨리는 과정입니다.저 역시 수차례 고개를 넘으면서 깨달았습니다. 고개란 늘 불안과 기대가 동시에 존재하는 공간입니다. 땀으로 얼룩진 셔츠가 등을 파고들 때, 다리에 근육통이 차오를 때, 마음속에서는 “언제쯤 끝날까”라는 조바심이 올라옵니다. 하지만 발걸음을 멈출 수는 없습니다. 고개를 넘는다는 건 곧 스스로와의 약속이기 때문입니다.오르막의 시작 – 무거운 발걸음, 그리고 침묵순례자들이 고개에 다가서면 누구나 말수가 줄어듭니다. 서로 ..

카테고리 없음 2025.08.20

[나는 왜 까미노를 생각하는가] 타인의 고통에 공감하며 함께 걷는 길

길 위에서 마주친 ‘타인의 고통’까미노 길 위에서는 누구나 아프다. 그것이 발바닥의 물집이든, 무릎의 통증이든, 혹은 마음속 깊은 곳의 오래된 상처이든 간에 말이다. 이 길에서 고통은 ‘개인의 것’으로만 남지 않는다. 걷다 보면 옆사람의 절뚝거림을 보게 되고, 낯선 이의 눈가에 고이는 눈물을 목격하게 되며, 때로는 고통을 나누어 지는 동행자가 되기도 한다. 타인의 고통을 알아차리는 순간, 우리는 더 이상 혼자가 아니다. 그리고 그 공감이야말로 순례길이 만들어내는 가장 특별한 기적 중 하나다.벤치에서 발을 주무르던 마르타의 고백레온 근처의 한 시골 마을. 낡은 나무 벤치에 앉아 있던 '마르타(42, 이탈리아)'는 두 손으로 발을 꼭 감싸쥔 채 눈을 질끈 감고 있었다. 발바닥이 터져 걷기 힘들어 보였던 그녀..

카테고리 없음 2025.08.20

[까미노 길 위의 풍경] 알베르게의 하루 – 순례자의 집에서 펼쳐지는 일상

알베르게 : 숙박시설의 한 종류로, 약 800km에 이르는 엘 카미노 데 산티아고 순례자들이 이용하는 숙박업소 마을 곳곳에 위치해 있는 숙박시설로, 순례자들에게 저렴한 값에 잠자리와 식사를 제공한다. 까미노를 걷는 순례자들에게 ‘알베르게(Albergue)’는 단순한 숙소가 아닙니다.그곳은 걷기의 하루가 끝나는 쉼터이자, 낯선 이들과 삶을 나누는 작은 공동체입니다.하루의 피로가 녹아내리고, 서로의 이야기가 조심스럽게 오가는 그 공간.알베르게의 하루는 까미노에서 가장 ‘인간적인’ 시간이 흐르는 곳입니다. 알베르게란 무엇인가?항목설명의미순례자 전용 숙소. ‘호스텔’과 비슷하지만 공동체적 의미가 더 큼유형공립 알베르게, 사립 알베르게, 수도원 알베르게, 개인 운영 숙소 등비용평균 8..

카테고리 없음 2025.07.14
반응형